우체국 등기조회 하는 방법
우리가 보통 상대방에게 편지를 보내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실질적으로 예전에 비해 우편을 이용하는 횟수나 빈도가 많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에요
지금처럼 인터넷이나 각 개인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지 않는 옛날에는 편지를 통해서 안부를 주고받기도 하고 전화를 통해서 이용을 했었는데요
하지만 지금은 바로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통화는 물론 바로 즉시 전화를 통해서 궁금한 거나 아니면 무슨 문제가 있는지등을 모두 살펴볼수 있죠
특히 해외에 있는 친척이나 가족에게도 바로 연락이 닿아서 구지 요즘은 우편이 필요한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급하게 우리가 문서를 동봉해서 보내야 할때가 있어요
예를 들어서 내용증명서를 보낼때 아니면 중요한 계약서를 첨부할때 또 회사와 회사간 무역 거래를 할때는 여러가지 b/l이나 다양한 문서등을 우리가 우편으로 보내야 하니까요
때로는 항공우편으로 해서 보내기도 하고요 기타 화물 소포와 함께 같이 보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국내라고 하면 택배를 통해서 보내기도 하지만요 일반 간단한 안내 우편엽서를 통해서 보내도 됩니다.
그리고 정말 급하게 일반 우편이라는 것은 내가 보낸 봉투가 상대방 주소로 정확하게 들어갔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준등기로 보내기도 하고 빠른등기나 일반등기등 보통 집배원이 상대방에 직접 이름을 통해서 누구에게 전달햇는지 등을 모두 확인하는데 이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내가 상대방에게 등기를 통해서 우편을 보냈다고 하면 일반 우체국에 접수를 하면 등기번호가 영수증에 같이 찍혀 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등기라고 하면 무게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긴 하지만 3-4천원정도로 해서 또는 지역과 거리에 따라서 요금이 약간 상이하게 변경이 됨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수증에 찍힌 등기번호를 통해서 현재 어디까지 배송이 되었는지도 간단하게 확인할수 있음으로 우체국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우체국 홈페이지에 가면 위와같이 당일 익일 특급에 대한 특급우편 등기소포에 대해서 배달지역과 변경에 대한 내용을 알수 있습니다.
그외에 배달지연이 현재 코로나로 인해서 기타 특이사항이 잇는 경우를 대비해서 해당 지역에 대한 안내가 나와있네요 대상 우편물이 일반통상인지 등기통상인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외에 여러가지 우체국상품과 우편 또는 방문접수 창구소포까지 확인하면 되고요 축하카드 엽서등도 우리가 직접 확인하면 됩니다. 위와같이 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에 보면 자신의 등기번호로 배송조회까지 한번에 확인이 가능하니까요 혹시 자신이 우체국에서 접수할때 전화번호나 영수증번호로도 조회를 하실수 잇습니다.
국내나 국제 우편요금에 따라 해당 사항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예시를 따라서 등기번호를 입력하면 되고요 혹시나 기타 문의사항이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1588-1300으로 전화해서 문의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