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본 떼는법
우리가 처음 회사에 출근을 하면 뭐부터 제출을 해야 하나요? 일단 나의 신원이 정확한지 우리가 파악할 필요가 있는것이죠
내 신분이 불안정하면 회사에서도 이사람이 어떤사람인지 물론 그럴일은 없지만 혹시나 사고칠까 두려운 마음이 있잖아요 그러면 주거지가 불분명하면 아무래도 불안하기 때문에 그사람에 대한 인적사항 정보를 하나씩 다 우리가 문의하게 됩니다.
그 증빙으로 주민등록증이나 아니면 주민등록등본을 통해서 정확하게 어디에 거주하고 집은 어디인지 파악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일반 회사원 직장인이 되었다면 이런 증빙을 제출을 해야 하는데요 예전에는 내가 직접 구청이나 동사무소등에 가서 발품을 팔았죠
그래서 직접 수수료를 얼마씩 내고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앗는데요 요즘은 세상이 좋아졌으니까요 아직까지도 인터넷이나 컴퓨터를 활용할줄 모른다고 하면 일일히 직접 방문을 했을거에요
하지만 지금은 바로 집에서 출력도 가능하고요 프린터랑 인터넷 연결이 되면 내 아이디나 공인인증서로 확인이 되서 바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등본떼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일단 세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요 직접 해당 공공기관에 방문을 해서 담당공무원에게 민원서류를 제출하는 것이죠
이게 어떻게 보면 제일 깔끔하긴 한데 그래도 수수료가 발생하죠 아니면 직접 집에서 또는 회사에서 프린터가 설치되었다고 하면 바로 민원24 사이트에서 출력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지하철이나 아니면 atm기를 통해서 자동화기기를 통해 우리가 수수료 500원정도 내고 발급도 가능합니다. 사람들이 많이 지나는 지역 지하철역 정류장에 설치가 되어있기도 하고요 아니면 구청이나 동사무소 직원들이 다 퇴근하고 나서 atm기에서 우리가 발급도 받을수 있으니까요
이중에서 가장 편리한 방법을 이용하면 되겠죠 아무래도 시간적으로도 훨씬 절약이 되는 곳을 활용하는게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
정부24 사이트에 가면 자세한 안내가 나와있습니다. 주민등록등본을 비롯한 납세증명과 소득금액증명까지 내가필요한 것을 찾아서 직접 검색해서 출력하면 됩니다.
수수료를 보면 1통에 400원으로 절약이 되니까요 그외에 신청작성예시를 통해서 발급방법이 궁금하면 해당 순서 절차를 확인하면 되겠죠
해당 주소지를 정확하게 확인을 해주고 발급형태를 표시해주면 됩니다.
우리가 보통은 온라인발급을 하니까요 기타 주민등록상의 주소를 선택해서 바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여러가지 중요한 설정이 있으니까 필요하신분은 바로 이제는 인터넷 발급을 선택해도 좋다고 생각이 들어요